글쓰기 과정과 전략
쓰기전
계획하기
분석
주제분석─ ? 참신하고 독창적인가?
? 상투성탈피
? 자신이 잘 알고 있는 내용인가?
? 자신이 쓰고 싶은 것인가?
? 독자의 관심을 끌만한가?
? 글의 분량이 맞는가?
독자 분석─? 독자 중심적인 글을 썼는가? ( 고객분석)
? 타겟으로 잡은 독자의 지위, 나이, 학력, 가치관, 종교 등의 정보를 아는가?
? 불특정 다수를 목적으로 둔다면 누구나 다 읽을 수 있는 글이어야한다.
? 신문은 중학교 2학년 생 기준으로 쓰여진다.
목적 분석 ─ ? 글을 쓰는 이유는 무엇인가? 정보전달(이공계 논문, 보고서), 설득(신문사설, 제안서,
기획서, 인문계 논문), 정서표현(문학적인 글, 시, 소설, 수필)
내용생산하기
고정관념 탈피 ─ ? 탈피하되 너무 탈피하면 독자와의 소통이 안된다.
내용생산방법
Brain storming─ ? 6~10명으로 구성한다.
? 진행자와 기록자 선정해야한다.
? 해결안 제시한다.
? 해결안이 아닌 떠오르는 데로 이야기해도 된다.
? 제시 중 의견에 대한 평가, 반론 제기는 일절 금지다.
? 정리 후 의견을 수정, 변형 발전시킨다.
Mind map
Check List ─?내용바꾸기 (노래 개사, 시조에서 한 부분 바꾸기)
?Text 바꾸기 (소설의 내용 한부분이나, 전체를 바꿔 쓰는 것)
?그림 속에 숨은 글 찾기(신문만평)
조직하기
개요짜기─ ?자료들을 배열 해놓은 틀이다.
?전체적인 글의 방향을 알 수 있다.
?상위 항목과 하위 항목 확실히 구별이 필요하다.
?아이디어 간에 연계성 확인해야한다.
?중복과 누락 확인이 쉽다.
쓰기
표현하기
초고쓰기─ ? 편하게 일사천리로 쓸 것.
? 중심문장과 뒷받침 문장 구분해야한다.
? 중심문장은 포괄적, 단정적, 추상적, 관념적인 문장이 이에 속한다.
? 뒷받침 문장은 이유와 근거, 예시, 부연설명을 하는 문장이 이에 속한다.
문단 나누기 ─ ? 문단은 생각을 나누는 것이므로 한 문단에는 하나의 주제와 이야기가 쓰여야한다.
? 문단은 내용은 통일성있어야하며, 문장과 문장끼리 연결성이 있어야하며, 주제를 강조하는 강조성을 갖춰야한다.
? 또한 일반적으로 글은 존칭해서 쓰지 않는다.
쓴 후
퇴고하기
퇴고하는방법
3가지 법칙 ─ ? 삭제의 법칙 : 중복, 주제에 벗어난 글 삭제하는 법칙
─ ? 첨가의 법칙 : 미비하거나 빠트린 내용을 보충 및 수정하는 법칙
─ ? 주제가 잘 나타나도록 글의 순서를 변경하는 법칙
제가 배운 내용을 엑셀로 정리한 것입니다.
마인드맵이야 너무 알려져서 쓸필요성이 없다고 생각하에 비워둔 것입니다.
사실 말로만 표현해둔 것을 쓰려했지만 주관적인 내용이 들어갈 것같아
객관적인 내용만 전달하기 위해 이렇게 했습니다.
또한 이것은 일반적인 글을 쓰는 방법입니다.
여기에서 글을 쓰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올린 글입니다.